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3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청소년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의 미래인 청소년에 대한 각종 통계를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023 청소년 통계 주요 지표
청소년의 인구 추이와 건강, 교육, 경제활동, 여가 등에 대한 변동 현황을 보면, 인구는 계속해서 출고 있는 반면 다문화학생 수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청소년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 엔데믹과 함께 대외활동이 증가하자 10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시간은 약간 줄어드었습니다.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입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인구 : 청소년(9~24세) 인구는 791만 3천 명으로 전년비 0.5% 감소
2023년 청소년(9~24세) 인구는 791만 3천 명으로 총인구의 15.3%이며, '22년(814만 7천 명) 대비 0.5% 감소하였습니다.
다문화학생은 전년 대비 5.4% 증가한 168,645명으로 전체 학생(528만 4천 명)의 3.2%를 차지합니다.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다문화학생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건강 : 2022년 중·고등학생 스트레스 인지율 41.3%
'22년 초등(4~6학년)·중·고등학생 중 85.6%가 자신의 신체적인 건강은 좋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평일 평균 수면시간은 7.2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연령별로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초등학생 (4~6학년)은 8.6시간, 중학생은 7.0시간, 고등학생은 5.9시간으로 나타나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업에 대한 부담으로 수면시간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고등학생이 스스로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답한 비율은 4.13%로 21년 대비 2.5%로 증가하였으며, 우울감을 경험했다고 답한 비율도 28.7%로 21년 대비 1.9% 증가하였습니다.
'21년 청소년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약 1.3% 증가한 1.933명이며, 주요 사망원인은 고의적 자해(자살) 11.7%, 안전사고 3.7%, 악성신생물(암) 2.7%로 나타났습니다. 청소년 사망자 중 10명에 1명 이상이 자살로 나타나는 현실은 매우 안타깝습니다.
여가 : 인터넷 이용시간 10대는 소폭 감소, 20대는 증가
'22년 초등(4~6학년)·중·고등학생의 평일 여가시간은 2~3시간(24.1%), 1~2시간(23.5%), 3~4시간(17.2%), 5시간 이상(13.8%)으로 나타났습니다. 10대 청소년의 1주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은 24.3시간으로 전년 대비 0.6시간 감소하였고, 20대는 33.4시간으로 전년 대비 3시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전·행동 : 10대 청소년 40.1%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22년 10대(10~19세) 청소년 10명 중 4명(40.1%) 이상이 스마트폰에 과의존하는 위험군이며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고 합니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각종 SNS, 유튜브, OTT 등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스마트폰 이용이 많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10대의 인터넷 이용시간이 늘지 않은 것과 상반되는 수치인데 아마도 인터넷 이용과 스마트폰 이용을 별개로 인식하여 발생하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또한 중·고등학생 중 4.5%는 30일 내 흡연, 13.0%는 30일 내 음주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초등(4~6학년)·중·고등학생 중 최근 1년 내 가출을 경험한 비율은 3.6%이며, 가장 많은 가출 이유는 부모님과의 문제(56.6%)라고 합니다.
관계 : 가족관계 만족도는 78.5%
'22년 청소년(13~24세) 중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답변한 비율은 78.%로 2년 전 보다 5.0% 증가했습니다. 도한 중·고등학생의 76.8%가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라도 느낀다고 답변하였으며, 65.6%는 '나는 나 자신에게 만족한다'라고 답변했습니다.
이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여러 가지 통계 조사 중 몇 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출산으로 급격히 줄어드는 청소년의 수는 물론 청소년의 스트레스 지수나 스마트폰 과의존 수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위험신호가 켜진 것은 아닌가 걱정스럽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하고 자세한 통계자료를 여성가족부에서 제공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상기 내용은 여성가족부 2023년 청소년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요즘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피해상담소 찾아가기 (0) | 2023.06.02 |
---|---|
6월 1일부터 적용되는 코로나19 생활방역지침 안내 (0) | 2023.05.31 |
술먹방 인플루언서 사망, 40도 술 4병 원샷 (0) | 2023.05.23 |
출산 임박한 임산부, 경찰이 외면해 위급한 상황 발생 (0) | 2023.05.23 |
맨시티 우승 EPL 3연패, 트레블 도전 남아 (0) | 2023.05.23 |
댓글